목록방통대 (5)
Today I Learned
퀵 정렬 30,35,50,45,10,20,70 ㄴ 피벗 : 30 -피벗이 제자리를 잡도록 하여 정렬하는 방식- 분할 후 : 왼쪽 부분배열의 모든 값

분할 - 배열을 동일한 크기의 두개의 부분배열로 분할 정복 - 각각의 부분배열을 순환적으로 정렬한 후 결합 - 정렬된 두 부분배열을 합병하여 하하나의 정렬된 배열을 만듦 합병정렬 -주어진 배열을 동일한 크기의 두 부분 배열로 분할 -정렬된 두부분 배열을 합쳐서 하나의 정렬된 배열을 만듦 순서 절반으로 나누고 왼쪽 먼저 다 해결하고 오른쪽 함 더이상 나눌 수 없을 때까지 나누고 그다음 합병 주어진 배열이 하나가 될때까지 분할만 이루어짐 그다음 단계는 합병이 수행됨 데이터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입력데이터 개수 n만큼의 추가 저장장소가 필요하다 /이런 알고리즘 : 제자리정렬알고리즘이 아님
욕심쟁이 알고리즘 여러단계를 거칠 때 각 단계에서 최선의 선택을 함 욕심쟁이 방법으로 해를 구할 수 없는 문제도 많다 "물체를 쪼개서 넣을 수 있다" 라는 가정이 있어야 욕심쟁이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. 배낭문제 어떻게 몇개를 넣어야 배낭의 물건의 이익의 합이 최대가 되겠는가? -> 물체의 무게는 적으면서도 이익이 가장 큰 물체부터 골라서 욕심을 내어 최대한 넣는다 -> 단위 무게당 이익이 가장 큰 물체부터 최대한 배낭에 넣은 과정을 반복 -> 남은 배낭의 용량만큼 물체를 쪼개서 넣는다 ex) M = 10 n=4 (p1,p2,p3,p4)=((14,15,20,9) (w1,w2,w3,w40=(4,3,5,3) 단위 무게당 이익 구하기 -> 이익/무게 순서 대로 배낭에 넣기 0/1배낭문제 : 물체를..
함수 : 특정한 작업(기능)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프로그램 표준 함수 : C언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 :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함수 표준 출력함수 : 자료의 출력을 위해 C언어에서 제공하는 함수 표준 입력함수 : 자료의 입력을 위해 C언어에서 제공하는 함수 1.표준입출력함수 - 표준함수 : c언어 자체에서 제공하는 함수 - 사용자 정의함수 :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함수 : 화면에 출력 printf() putchar() puts() : 키보드를 통해 입력 scanf() getchar() gets()
2강 상수(constant) : 값이 한번 정해지면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수 변수(variable) : 프로그램 실행도중 변할 수 있는 값이 저장되는 기억공간을 의미 자료형(data type) : 사용하는 자료의 형태 초기화 : 선언된 변수에 특정 값을 부여하는 것 선행처리기 : 컴파일하기 전에 미리 수행되어야 할 처리기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1. 상수와 변수 2.자료형과 변수 선언 3.선행처리기 : 컴파일러를 하기 전 단계, 용도와 기능 1. 상수와 변수 - 자료형 : -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의 형태 -상수와 변수로 구분하여 사용 -프로그램에서 자료처리를 위해서는 - 자료의 생성과 저장,처리과정이 필요 - c프..